선사문양의 상징성 (9) : Neolithic Symbol & Myth : 陰陽論

https://blog.naver.com/jsptrade/221404176138


음양론(陰陽論)
홍산문화에서 출토되어지는 옥기를 살펴보면 거의 대부분이 음과양 또는 남과 녀의 또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동물.. 들의 복수 개념이 뚜렷하다.   설명한 바.. 홍산인들은
음과 양의 조화로서 새로운 생명 이 탄생하고.. 그러한 음과 양의 조합 또는 결합.. 자체를 신() 이라고 숭배했었다.    그리고 그러한 정신세계는 상나라 까지 이어져 청동기의 금문 으로도 나타난다.


() 음과양 (남과녀)를 한개의 옥기위에 동시에 표현한 경우.. 
    부활을 기원하는 매미.. 좌우로 한 쌍이 조각되어 있다.   왼쪽과오른쪽의 매미는     각기 다르게 생겼다
 

좌우는 암수를 표현한 것이다.
애벌레 한쌍을 표현한 것으로써 자주 등장한다

   산상적석신전의 제단에서  사용했던 신전제기 이다.     좌우에는 동물 머리 형태의    손잡이가 좌우로 달려있는데 각각 모양이 다르다
암수를 한몸에 표현했다.
(나) 음과양 (남과녀)를 두 개의 옥기위에 따로 따로 표현한 경우.. 
 C자룡은 대형(60-70cm).. 중형(20-25cm).. 소형.. 모두 거의 대부분   약간씩 크고 작은 한 쌍으로 출토되어진다.
    구운옥패  
    대형에서 중형 그리고 소형.. 여러 크기인데.. 절반 이상이  한쌍으로 완벽하게 출토    되어진다..  때로는 다른 한짝이  유실되어 단지 한개만 출토되어지는 경우도 많다.  <숫놈의 구운옥패와 암놈의 구운옥패는 형태가 다르다.
태양신 조각도 마찬가지로 암수를 각각 따로따로 표현하여 두개 한쌍으로 출토되어지는경우가 많다.  심지어 대형(H20cm 이상) 태양신의 경우에도 암수를 각각 따로따로 표현하여 한쌍으로 출토되어진다.

    옥저룡
    한 쌍으로 출토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크기만 약간씩 다를 뿐이며.. 모양은 똑같다.

<주>  음과양(남과여)로 표현된 조각들이 한쌍을 이루며.. 출토되는 경우는 매우 많다.  대형 C자룡의 경우.. 암수의 조각은 같으나.. 무게가 조금씩 다르다..       < 대형 C 자룡(일명 눈딱부리)의 암수 무게 측정 >     
        경우 1..   무게 25kg  +  무게 23 kg  한쌍
        경우 2..    무게 10kg  +  무게 9.1 kg  한쌍
        경우 3..    무게 3.1kg  +  무게 2.9 kg 한쌍
      <주> 아래 자료는 심양의 홍소병씨..가 정리한 것이다..

  
  
红山玉器诸多皮壳当中的一种————阴阳面  2010-09-03           심양의 홍산문화 연구가 홍소병씨의 자료는 유익하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Xiajiadian Culture,(28) Dan Gun

선사문양의 상징성 (5) : Neolithic Symbol & Myth : 양손에뱀을, Master of Animals

선사문양의 상징성 (12) : Neolithic Symbol & Myth (편발개수(옥저룡)+ 檀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