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문양의 상징성 (8) : Neolithic Symbol & Myth : 陰陽合一 : 神(道)

https://blog.naver.com/jsptrade/221404165190

음양합일(陰陽合一)은 신(神) 및 도(道)

2년전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 강의를 한달에 걸쳐
들었다. (구룹 과외공부 형식) 훈민정음 해례본
첫마디는 무릇 만물의 진리는 음양의 조화이며..
그것이 알파이고 오메가이다로부터 시작한다.. 즉
훈민정음은 음양론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
홍산문화 유물들은 모두다 음양론에 의거한 것이다.
출토유물 자체가 거의 대부분 음양..두 개이던지..
또는 음양합일체..이다.. 홍산인의 관념체계는
음양합일이 바로 신(神) 또는 도(道)으로 이해했다..
+++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신(神)이라 하면.. 일단
"전지전능" 이라는 생각을 한다. 헌데 과연 그럴까.!?  

신(神)이라는 본래의 어원을 찾아가보자.. 1900년전
동한(東漢)의 위대한 학자가.. 1만개 가까운 한자들의 어원을 하나 하나 자세히 설명한 '설문해자" 라는
책자를 만들었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신(神) 이란 신(申) 자와 동일한
것인데.. 아래 사진의 상나라 (동이족..유물) 청동기에 조각되어진 금문(金文) 의 문양에서 볼 수 있듯이,

신(申)이라는 글자는
양손으로 받쳐든 문 (또는 절구) 에
큰 막대기가 끼어진 것을 의미한다.
 
설문해자에 해설에 의하면 옮겨보면..
"신(申)자는 신(神)이다..  七月 음기(陰氣)가 체(體)를 이루어.. 스스로 폈다 오무렸다 한다." 
(1) 깍지낄 국  글짜 와
(2) 자지(自持)를 합친 글짜이다.

<주> 스스로 지탱하다가 뭐냐.. 중국인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홍산후예인 한국인은 금새
 알아듣는다. . "자지.."아닌가.!?  에이 쑥쓰럽게..
             <김영동박사 풀이를 옮긴 것이다.>
즉 자지는 그냥 자지일 뿐이다.. 그게 신(神)이다..
 
그것을 사진으로 풀이하면.. 아래 좌측과 같으며..
홍산인들은 그 신(神) 모습을 조각으로 남겼다..
 
   神 = 절구와 자지         오른쪽 문양이 "神"이다.
본인은 15 가지의 각기 다른 형태의 신(神) 모습들이
한구덩이에서 일괄 출토되어지는 것을 만나게 되었다.
<주> 아마도 신(神)과 통하는 체위 21가지 였는데..
15가지 체위만 출토+발견..되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여하튼 본인의 관찰에 의거.. 홍산인들은 그중에서도
두 가지 체위를 가장 중요시 했다..는 것은 확인했다.
홍산시대에 가장 중시했던 두 가지 형태중 하나..
 
홍산시대에 가장 중시했던 두가지 형태가 앞뒤 조각되어 있다.
 상기 사진은 길이 1.0m 의 대형 옥판에 양각 조각된
신(神)의 체위 자세이다.. 바로 아랫 사진과 동일하다.
뒷면에는 맨 처음의 체위자세가 조각되어져 있다..
홍산시대에 가장 중시했던 두가지 형태중 하나..
현대판 남녀합일 체위와 비교해볼 때..
홍산시대에서는 4번 체위를 가장 중시했으며..
1번..2번..5번..은 홍산유물에서 본적이 없다.
홍산시대에서 음양합일의 신(神)이라는 관념은 비단
비단 남녀.. 암수의 합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남성성(용..초생달) 및 여성성(봉..태양)의 합일 또한
신(神) 이었다..
축제를 올리는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용과 봉의 합일체 패식구가 정중앙에 걸려있으며..
각 마을에서 몰려온 관객들은 환호한다..

상기 사진 유물의 좌측이 용.. 우측이 봉...이다..
이 양성+음성이 합일된 모습은 신(神) 이었다.
상기 사진 유물의 몸체는 여성..머리부분은 남성..이다.
이 또한 음성+양성이 합일된 모습으로 신(神) 이었다.

++++
5-6천년 당시 결혼제도는 있었는가!?    없었다..
당시 인구 25만-30만..으로 50여개의 씨족으로
나뉘어서 반경 300KM 영역에서 홍산문화권을
이루며 살았다..  50여개 씨족이라면 6천여명으로
구성되며.. 각각 600-800여명이 한 부락을 이루어서
반경 2KM 경제활동(사냥..농사) 구역을 차지하고
살아가는데..이 씨족들은 동일한 토템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각 6천여명의 씨족은 각자의 제단을 갖고 있었으며.. 그믐달.. 보름달..이 되면.. 젊은이들은 먹을 것..
사냥한 것들.. 하늘여신(땅:地神)에 바치는 조각품들을
들고와서.. 3천여명 젊은이들이 2박3일 축제를 벌린다.

축제는 제단위에 준비해온 공양물들을 바치고..
환각작용의 버섯.. 식물로 만든 술..을 마시며..
신을 즐겁게 하는 광란의 춤..이 동반되며..
타악기.. 피리.. 괴성.. 소리들이 함께 한다.
축제의 중심부에는 제사장..그리고 보조 제사장들이
축제를 이끌어간다..

공양물 들 중에서 음식물들은 나누어먹고(제사장은
특별 부위를 독차지했다.. : 구약성서 민수기 참조)
준비해온 조각품들은 제단앞에 1.5M 깊이 구덩이를
파고 쏟아부어서 地神에게 공양한다..  그 구덩이를
(제사갱: Ceremonial Pit) 파내면.. 10여점..30여점의
홍산옥기 조각품들이 우루루 쏟아져 나온다.

한편.. 축제의 피날레는 강강수월레 춤놀이 이다..
음악에 맞추어 젊은 남녀들은 춤을 춰나가다가..
음악이 딱 멈출 때.. 마주 보는 파트너가 짝짓기
상대가 된다.. 이러한 축제는 2박3일 지속되며..
축제가 끝나면.. 각자들은 자기 마을로 되돌아간다.

결론적으로 홍산시대에는 각 씨족마다의 신전 또는
제단들이 50개는 있었다는 이야기 이다..  실제로도
신전들이 여럿 발견된다..  그리고 마을마다의 작은
제단들은 상당갯수 발견된다..  그리고 각 마을에서도
제례의식을 치럿던 것 같다.. 왜냐면.. 제사갱에서
많은 홍산옥기 공양물들이 10여개 우루루 쏟아져
나오기 때문이다..

정리를 해보면.. 홍산시대에는
(1) 각 마을마다의 제단.. (최소 500개)
(2) 각 씨족 단위의 제단..또는 신전.. ( 최소 50개)
(3) 홍산문화 중심적 신전 (최소 3개)

뉴허량은 홍산문화권 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3) 3개 중심 신전 중 하나..였을 것이다..
그리고.. 확인한 바.. 중부권 중심 신전도 존재하는
것 같으며.. 북부권 중심 신전도 반드시 존재한다.

이와 같은 추론의 근거는.. 뉴허량 이외에도 뉴허량에
못지 않은 최고 수준의 명품 유물들이 다량 쏟아져
나오는 제단+ 신전..들이 간혹 발견되어지기 때문이다..

본인 생각으로는 뉴허량 신전은 분명..인근에 상당수
마을들이 밀집되어 있는.. 홍산문화권의 남부 중심지
역할을 했을 것이지만.. 중부권.. 북부권에는 별도의
뉴허량 수준의 중심 신전이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중 하나의 예가.. 뉴허량 북쪽 400km 지점의
커치(커스커팅) 에서 신규로 다량의 홍산시대의
역사기록물들이 4번..5번 지점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따라서 그곳에 북부권 중심 신전이 있을 것이다.
일단..기록물들 모두를 체집하는 작업을 우선 해내고.. 차후 3월달.. 현장 방문 + 신전 형태를 면밀 답사한다.

<주> 그 북부권 중심 신전에는 제사장 훈련소..
(즉 단군 사관학교) 또는 홍산시대 도서관..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해본다..
한편.. 뉴허량 지점은 한참 남쪽에 자리잡고 있다..
아래 사진의 9번 인근 지역에 뉴허량 신전이 있다.
이에 뉴허량은 남부권 중심 신전..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중부권 중심 신전의 위치를 추정한다면..
적봉 북쪽 80km 지점에 강(시라문)이 흐르고 있는데..
강가를 따라 그 어느 산상(평지)에 중부권 중심 신전이
자리잡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해본다..

그 후보지는 일차 탐방해본 바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Xiajiadian Culture,(28) Dan Gun

선사문양의 상징성 (5) : Neolithic Symbol & Myth : 양손에뱀을, Master of Animals

선사문양의 상징성 (12) : Neolithic Symbol & Myth (편발개수(옥저룡)+ 檀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