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문양의 상징성 (14) : Neolithic Symbol & Myth (光背)
https://blog.naver.com/jsptrade/221405280087
아래 1번 인형은 비를내려달라고 기원할 때 쓰던 인형이다.(다게스탄) 이 인형에는 머리대신에 붉은 원판이 붙어있다.. 만약..청동기시대이후의 유물이라면.. 태양을상징하는 것이며.. 청동기 시대 이전의 유물이라면.. 하늘여신을 상징하는 것이다.
아래 1번 인형은 비를내려달라고 기원할 때 쓰던 인형이다.(다게스탄) 이 인형에는 머리대신에 붉은 원판이 붙어있다.. 만약..청동기시대이후의 유물이라면.. 태양을상징하는 것이며.. 청동기 시대 이전의 유물이라면.. 하늘여신을 상징하는 것이다.
상기 그림 6번(북러시아) 및 그 곁의 7번(이탈리아) 그림은 머리대신 원판이 있는데.. 두개의 선.. 또는 점..이 묘사되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전의 유물이므로...원판은 태양이 아니라..하늘(또는 하늘여신)을 상징하는것이다.. 원판 둘레에 있는 여러개의선...점..은 신석기 시대에서는 원판이 하늘(하늘여신)이므로.. 빗줄기..이다.. 헌데..청동기 시대 이후의 유물이라면 원판은 태양..이므로.. 선..점..은 광선..을 상징한다..그림 2번은 남성성기가 표현되어있다.. 시대관계없이 머리의 원판은 태양을 상징한다.
그림 4번은 (스웨덴)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이 원판이 있는 사람 모양 형상은태양신의 우상으로 간주해야 한다.. 그 곁 오른쪽 그림 5번 (키르키스탄) 또한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서 태양신의 우상이다.. p1023..
원판이 있는 사람모양 신의 형상은 일정한 종교적 개념의 결과물 이었다.. 큰 여신은하늘에만 거주하지 않았다.. 큰 여신은 곧 세상 전체였다.. 여신의 머리는 세계의 위, 즉 하늘이었다. 때문에 큰여신은 머리 대신 원판이라는 하늘의 상징으로도 표현했다.그러나 이 사람모양 신의 형상은 후대에는 태양신의 표현으로 재해석 되었는데.. 왜냐면후대에는 원판은 태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아래는 요령성 객좌현 제단의 제사갱 출토(2018.11) bi disk 일괄 10여점 이다. 상기 그림 2.. 3.. 4..와 흡사한 bi disk 들인데..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그림 4번은 (스웨덴)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이 원판이 있는 사람 모양 형상은태양신의 우상으로 간주해야 한다.. 그 곁 오른쪽 그림 5번 (키르키스탄) 또한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서 태양신의 우상이다.. p1023..
원판이 있는 사람모양 신의 형상은 일정한 종교적 개념의 결과물 이었다.. 큰 여신은하늘에만 거주하지 않았다.. 큰 여신은 곧 세상 전체였다.. 여신의 머리는 세계의 위, 즉 하늘이었다. 때문에 큰여신은 머리 대신 원판이라는 하늘의 상징으로도 표현했다.그러나 이 사람모양 신의 형상은 후대에는 태양신의 표현으로 재해석 되었는데.. 왜냐면후대에는 원판은 태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아래는 요령성 객좌현 제단의 제사갱 출토(2018.11) bi disk 일괄 10여점 이다. 상기 그림 2.. 3.. 4..와 흡사한 bi disk 들인데..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해석 1> 녹송석을 사용했으므로.. 홍산후기 또는 4천년전 치자 Qijia 문화 유물일 것이다.. 녹송석 인물은 남성..이다.. 황소머리(남성)에 남성 심볼까지 달았다. 헌데 원판 그 자체는 여성인가 남성인가.!? 4천년전 유물이라면.. 원판은 태양상징이며.. 5천년전 유물이라면 원판은 하늘이다. 즉.. 원판이 여성인가(신석기 시대의 하늘상징).. 또는 남성(청동기 시대의 태양상징).. 인가에 따라서.. 상기 유물의 상징성의 해석이 가능해진다.
즉.. 신석기 시대의 원판 형상은 하늘.. 하늘여신이었는데.. 청동기 시대에 들어가서는태양..태양신으로 재해석 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원판 자체가 태양의 상징으로 변하게 된다. 헌데..신 자체도 태양의 화신이라 여겨졌기 때문에.. 몸통에 원판이 있는 다른유형이 출현한다.. 수천년에 걸쳐 변하지 않은 예가 있는데, 바로 스칸디아비아의토르(Thor) 신의 모양이다.. 아래 그림1(스웨덴), 그림2(스웨덴), 그림3(아이슬란드)들이 바로 그것들이다. 청동기시대부터느 원판과 마찬가지로 十자도 태양의 상징으로간주되었기 때문에, 신의 몸통에는 十자가 표현되기도 했다. (그림 5, 6 : 북러시아)
헌데 신석기 시대에서도 十자는 남성신을 의미했다..자.. 이제 이글에서 원래 말하고자 하려던 본래의 주제를 향해서 진도를 나아가자..아래 그림6(루마니아) 및 그림5(터어키)은 7천년전의 신석기 시대 유물이다.. 머리는원판인데.. 원판은 신석기 시대라면.. 하늘을 뜻한다.. (청동기 시대에는 태양 상징)헌데 그림 5.. 그림6..에서의 원판의 광배는 무엇인가.!? 태양의 광배가 아니라.. 하늘의 광배이므로.. 이는 곧.. 하늘여신의 비..(雨)를 상징한다.
이렇듯 신석기 시대의 광배는 하늘여신의 상징이었다.. 헌데..청동기 시대로 접어들어가면서.. 그림9..(카작스탄)처럼.. 남성신 태양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광배는 빛..이다. 반면에 그림10..(오스트렐리아 신석기)은 하늘의 여신이다.. 광배는 비(雨)줄기 이다. 자.. 이정도 기초실력을 갖추었다면.. 아래 홍산문화 시대의 광배가 있는 토기는 무엇을상징하는가!? 단번에 알 수 있다.. 하늘여신이며.. 빗줄기를 상징하는 것이다.. 머리위의 활꼴은 구름을 상징하며.. 동시에 하늘여신의 징표의 하나..이다..
이렇듯 신석기 시대의 하늘여신은 비를 주고..아이낳는 것을 돕고.. 동물 숫자를 늘리고식물을 무성하게 자라게 하였다.. 그리고 신석기인들은 이러한 신화적 여성의 표현물을각자 만들어서 숭배하곤 했다.. (집집마다 신주단지 모시듯.. 구텅이에는 조그만 제단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는 곧, 불이 자주나던 시대여서.. 아궁이 신으로 모셨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사실들을 볼 때.. 광배가 신석기 시대 (하늘)여신의 징표로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광배는 여신의 머리가 하늘에 있거나.. 혹은 여신 자체가 하늘임을 반영하였지만나중에는 태양신의 머리 둘레에서 빛이 발한다고 재해석 되었다.. 후에는..광배는 로마의 神 과 황제.. 불교와 기독교에서의 聖人의 신성을 상징하는것을 변모하게 된다.
<주> 홍산 시대의 광배가 있는 유물은 딱 두 개를 갖고 있다.. 극히 희귀하다..처음 입수했던 광배있는 인물조각상은.. 옥성분이 많은 흑색 돌로 만들어졌는데.. 워낙 얼굴도 볼품 없고.. 심술맞게 생겨서.. 사진조차 찍어두지 않았는데.. 귀하신 몸임을 뒤늦게 라도 알았으므로.. 잘 창겨두어야 하겠다.. 사진은 추후에 올리도록 하겠다..
이러한 사실들을 볼 때.. 광배가 신석기 시대 (하늘)여신의 징표로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광배는 여신의 머리가 하늘에 있거나.. 혹은 여신 자체가 하늘임을 반영하였지만나중에는 태양신의 머리 둘레에서 빛이 발한다고 재해석 되었다.. 후에는..광배는 로마의 神 과 황제.. 불교와 기독교에서의 聖人의 신성을 상징하는것을 변모하게 된다.
<주> 홍산 시대의 광배가 있는 유물은 딱 두 개를 갖고 있다.. 극히 희귀하다..처음 입수했던 광배있는 인물조각상은.. 옥성분이 많은 흑색 돌로 만들어졌는데.. 워낙 얼굴도 볼품 없고.. 심술맞게 생겨서.. 사진조차 찍어두지 않았는데.. 귀하신 몸임을 뒤늦게 라도 알았으므로.. 잘 창겨두어야 하겠다.. 사진은 추후에 올리도록 하겠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