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문양의 상징성 (13) : Neolithic Symbol & Myth (紅山文化 vs 朝鮮文化)

https://blog.naver.com/jsptrade/221405238122

홍산문화와 조선상고문화의 친연성의 연결고리로서
등장하는 것들을 여럿된다..
<1> 빗살무늬 토기.. (중국 화화족에는 없다)
<2> 석관묘 매장풍습.. (중국 화화족에는 없다)

헌데 본인이 입수+ 수집한 출토 홍산시대 유물들을
살펴보니까 조선족 고유의 흔적들이 꽤나 많다..

<3> 상투 틀기.. (중국 화화족에는 없다)
<주> 위만은 조선사람 흉내를 내기 위해서..
상투를 틀었고.. 두루마기를 입고 왔다..(역사서 기록)

(4) 조선사람의 두루마기는 무엇인가.. 왼쪽이 위로
올라가게 덮어 입는 것을 말한다. (공자님이 일찌기
그러한 복식차림의 민족을 예의지국..이라 말했다.)
아래 세가지 예를 살펴보자.. 모두다 본인이 고조선
옛 역사활동 영역에서 출토되어진 것을 입수한 거다.

 
두루마기와 함께.. 홍산시대의 상투..의 예도 그동안
수없이 많이 출토 + 입수되어졌다..


<5> 편발개수 :  중국 화화족에는 없다. 한국의 고대
기록물에는 나와있다. 그러다가 유물로서 출토되다.
<6> 제주도 돌하루방 및 초립모자(패랭이) : 
돌하루방의 원조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지 우리는
모르고 있다가..  홍산문화의 제사장 모습이라는 것을
최근의 출토 유물을 통하여 비로소 알게 되었다.


패랭이
<7> 양반모자
조선족의 의관정제(衣冠整齊)
아래는 요령성 조양시 객좌현 인근 홍산유적지
제단 출토(2018.11) 일괄 15점 하나..
<8> 붉은 악마 :
5천년 시공을 넘어 면면히 이어져왔다.
   내몽고 옹우특기 홍산유적지 출토
붉은 악마의 뒷면
<9> 총각머리



<10> 우두머리


<11> 고깔모자



<12> 청동비파검 :
<13> 삼족오 :
땅의 신(地神)이 맹금류 (수리.. 독수리) 로 나타난 것을 상징할 수도 있으며..하늘여신..이   흰색물새..(고니새.. 철새..)등으로 나타난 것을 상징할 수도 있다.검은색 까마귀는 홍산시대에 없던 관념이다..  홍산에는 애당초 검정색은 중시하지않았다. 
  <주> 단.. 삼족오는 고구려 뿐만 아니라.. 한나라 화상석 조각에서도.. 또한 중국의           남북조 시대에서도 나타나며..  일본 천황 즉위 전통복..에서도 나타난다..
단.. 삼족오는 남북조 시대에도 나타났다.
<14> 삼태기

<15> 방상시 탈 :  방상시(方相氏)  눈이 네개 달린 탈.. 그것은 조선조의 왕궁에서도 년초에 악귀를 쫓는 의식에서쓰였던 탈이다.. 즉 년초에 궁중에서는 '나례(儺禮)'라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나례는 묵은 해의 잡귀를 몰아내던 의식이었는데.. 여기에 방상시 탈이 등장한다.
 '방상시탈'은 죽음의 가시는 길에.. "제발..악귀가 붙지 않도록 좀 잘 봐주십시요..  라는  굽신굽신의 메시지를 탈(Mask)에 씌웠다는 설..도 있다..   물론 현대인의  관념으로 5천년전 유물을 해석한다는 것을 그럴듯 해보여도 틀린 경우가 많다.
방상시
<15> 흰색 두루마기..  백의민족 홍산시대의  하늘여신은 흰색으로 표현되며.. 그 이유는 고니새.. 등의 흰색 물새..들로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대 위에 흰색 깃발 자체는 하늘여신의 상징이자 동시에 숭배의 대상인 것이다..  조선족이 백의 민족인 이유는 5천년전의 홍산인들의 하늘여신에 대한 숭배를 나타낸다.  중국아이들은 붉은 색을 좋아하며.. 흰색은 별로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Xiajiadian Culture,(28) Dan Gun

선사문양의 상징성 (5) : Neolithic Symbol & Myth : 양손에뱀을, Master of Animals

선사문양의 상징성 (12) : Neolithic Symbol & Myth (편발개수(옥저룡)+ 檀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