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문양의 상징성 (11) : Neolithic Symbol & Myth : Hongshan Heaven's Goddess & Birds
https://blog.naver.com/jsptrade/221404789640
하늘여신의 속성은 날개.. 그의 남편 땅의신(地神)
속성은 뿔..(뱀으로 나타난다.) 이다.. 깃털.. 날개..
등의 상징은 히타이트. 고대 이집트에 자주 출현한다.
우리는 바로 앞장에서 아래사진은 홍산문화의
하늘여신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눈의 묘사는 하늘의 이중원판으로 해석했다..
또한.. 올빼미 눈은 이중원판 형상이므로..
한편.. 홍산시대의 중앙대묘 출토품들중에서 만약
상기 중앙대묘 출토 유물들은 날개가 함께 포함되어
수메르의 하늘여신 이난나.. 고대 이집트 하늘여신
하늘여신은 흰색이므로 고니새..백조..황새..흰비둘기..
땅의신(地神)은 뱀의 형상으로 나타나.. 기우제를
새얼굴 사람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다.. 라스코 벽화의
워낙 상징성 높은 벽화이다 보니가.. 각자 썰들이
제사장 뒷퉁수 밑에 놓여있는 고니새는 하늘여신의
<둘째부류> 봉황새
<셋째 부류> 수리부엉이(솔개..매)
그러하므로 홍산시대에서 만들어진 수리부엉이등의
같은 맹금류 임에도 불구하고.. 셋째부류와 넷째부류로 궂이 두개로 분류하는 이유는.. 날개의 표현의 차이에
<기타>
<주>
하늘여신의 속성은 날개.. 그의 남편 땅의신(地神)
속성은 뿔..(뱀으로 나타난다.) 이다.. 깃털.. 날개..
등의 상징은 히타이트. 고대 이집트에 자주 출현한다.
우리는 바로 앞장에서 아래사진은 홍산문화의
하늘여신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눈의 묘사는 하늘의 이중원판으로 해석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