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문양의 상징성 (22) : Neolithic Symbol & Myth : 紅山 文字素 S..L.. 通天人
https://blog.naver.com/jsptrade/221406646053
홍산의 문자소 : 홍산인들은 살..SL..이라고 읽었다.
홍산옥기의 중요한 가면.. 또는 제식에 사용하는 중요한 기물(신성스럽다)에서가장 중요한 위치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문자소(文字素) 는.. 상기 기호..이다..상기 기호는 동물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만약.. 홍산시대에 신령스러운 동물, 가령 호랑이 등을 크게 숭배했다면.. 그 동물은 땅의신(地神)의 화신이자.. 바로地神 그 자체로 인식하였다.. 그렇다면.. 저 기호를 새겨진 유물들은.. 매우 신성한기물로서.. 땅의신(地神)으로부터 地神의 권능과 공력을 전수받은 자..로서의 의미를 상징한다고 해석한다. 즉.. 권능을 제수받은 자..를 뜻한다. 무엇이라고불렀을까.!? 분명 S..L..을 혼합시켰을 것이다.. 또는 M..N..이 들어갈 수도 있다.S..L..이 결합한.. 살.. 솔.. 설.. 술..등의 단음어..가 지신의 권능을 제수받은 자 이다..살만(薩滿).. 중국어로 살만이 샤먼..이다.. 따라서.. 살.이라 불렀을런지도 모른다.
우리가 치우라고 부르는 형상이 홍산시대에 가면으로 출토되어졌다. 앞면..및 뒷면..으로 출토되어졌는데.. 뒷면에는 "살"의 문자소가 양각되어져 있다.. 이 샤먼.. 무인..무당의 뜻을 지닌 "살만" 이라는 단어..는 즉.. "살..S L" 은 중근동까지 퍼져갔는데..
살먼 [ Shalman ] ‘우상’이란 뜻. 납달리 지파의 성읍 ‘벧아벨’을 훼파한 ‘살만에셀’의 단축형(호 10:14). 곧 북이스라엘 왕국을 멸망시킨 앗수르 왕 살만에셀 5세(B.C. 727-722년). 살만 [Shalman] (라이프성경사전, 2006.) 보살.. 이것은 무엇인가.!? 산스크리트어 보디사트바(Bodhisattva)의 음사(音寫)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이다. 그 뜻은 일반적으로 ‘깨달음을 구해서 수도하는 중생’, ‘구도자’, ‘지혜를 가진 자’ 등으로 풀이된다. 보살의 용어와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2세기경의 ≪본생담 本生譚≫에서이다. ≪본생담≫은 석가모니가 전생에서 수행한 여러 행적을 이야기한 책이다. 이때의 보살은 여러 가지 형태, 즉 범천(梵天)·수신왕(樹神王)·장자(長者)·사제(司祭)·선인(仙人)·사자(獅子)·코끼리[象]·원숭이猿]·새[鳥] 등으로 다양하게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석가모니 1인에 귀착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살먼 [ Shalman ] ‘우상’이란 뜻. 납달리 지파의 성읍 ‘벧아벨’을 훼파한 ‘살만에셀’의 단축형(호 10:14). 곧 북이스라엘 왕국을 멸망시킨 앗수르 왕 살만에셀 5세(B.C. 727-722년). 살만 [Shalman] (라이프성경사전, 2006.) 보살.. 이것은 무엇인가.!? 산스크리트어 보디사트바(Bodhisattva)의 음사(音寫)인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이다. 그 뜻은 일반적으로 ‘깨달음을 구해서 수도하는 중생’, ‘구도자’, ‘지혜를 가진 자’ 등으로 풀이된다. 보살의 용어와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2세기경의 ≪본생담 本生譚≫에서이다. ≪본생담≫은 석가모니가 전생에서 수행한 여러 행적을 이야기한 책이다. 이때의 보살은 여러 가지 형태, 즉 범천(梵天)·수신왕(樹神王)·장자(長者)·사제(司祭)·선인(仙人)·사자(獅子)·코끼리[象]·원숭이猿]·새[鳥] 등으로 다양하게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석가모니 1인에 귀착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상기 사진의 문자소 "살." SL 은.. 지신이 동물 형상으로 표현되어진 것이 분명하다. 네발 짐승인데.. 과연 그 신성한 동물은 무엇일까.!? 아래 사진 동물일지도 모르고
또는 아래의 신묘한 동물..일런지도 모르며.. 맨 아래의 홍산 호랑이 인지도 모른다.
여하튼 본인은 바로 저 문자소를 "살 SL" 이라 읽고서.. 살만.. 샤만.. 즉 地神으로부터 권능을 부여받은 자..를 상징한다고 해석한다..
이 살..SL 문자소..언어소..는 중근동에 전파되면서 당연 그들 지방에서 크게 주목받게 되는데.. 기독교에서는 우상.. 인도에서는 보살..이 된다고 하는데.. 오로지 출토되어지는 유물로서만 만지작 거리는 우리로서는 그런 것은 잘 모르니까.. 전혀 상관은 없고.. 다만.. 홍산시대의 문자소.. 언어소..로서의 살..SL..은 통천인(通天人)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는 것을 확인하면 대만족..이다.
아래 사진을 보자.. 이마의 기호는 살(SL) 이라고 읽는다는 것을 우리는 알았다. 또한 가면의 주인공은.. 地神 으로부터 권능을 부여받은 者..이다.. 우리는 그분을 샤먼.. 무당.. 제사장.. 단군.. 통천인(通天人)..그 무엇이라고 불러도 상관없다.. 다만.. 아래 부호가.. 살(SL) 이라고 불리웠으며.. 신의 권능을 부여받은자..라고 알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 살..SL 문자소..언어소..는 중근동에 전파되면서 당연 그들 지방에서 크게 주목받게 되는데.. 기독교에서는 우상.. 인도에서는 보살..이 된다고 하는데.. 오로지 출토되어지는 유물로서만 만지작 거리는 우리로서는 그런 것은 잘 모르니까.. 전혀 상관은 없고.. 다만.. 홍산시대의 문자소.. 언어소..로서의 살..SL..은 통천인(通天人)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는 것을 확인하면 대만족..이다.
아래 사진을 보자.. 이마의 기호는 살(SL) 이라고 읽는다는 것을 우리는 알았다. 또한 가면의 주인공은.. 地神 으로부터 권능을 부여받은 者..이다.. 우리는 그분을 샤먼.. 무당.. 제사장.. 단군.. 통천인(通天人)..그 무엇이라고 불러도 상관없다.. 다만.. 아래 부호가.. 살(SL) 이라고 불리웠으며.. 신의 권능을 부여받은자..라고 알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홍산옥기들 중에서 중요한 상징물인 경우에는 문자소 "살 : SL" 이 연이어서 새겨져 있다..
상기 희귀 유물은 정결하게 하는데 쓰이던 도구로 추정한다.. 가령.. 산비둘기 피를 제단 및 장막(흰색) 언저리에 뿌리는데..(구약성서 민수기) 사용했던 도구이다.. 고깔모자를 쓰고 있으며.. 양어깨에는 문자들이 새겨져 있다..
만약.. 왼쪽 어깨의 양각의 문자소를 "비 " 雨" 로 해석한다면.. 반대편 오른쪽 어깨의 문자소는 자연스럽게 비 : 雨 와 관련된 것을 생각해내면 된다.. 번개와 벼락 인가.!?
<마침말>홍산출토 유물들 중에는 적지않은 경우.. 문자가 새겨져 있는데.. 또는 심지어 문자판이 우루루 10여개 일괄로 쏟아져 나오기도 하는데.. (아래 사진)..
도무지 무슨 상징성인지를 알 바 없다는 것이다. 우측 아랫쪽에 살..SL.. 문자소가 보인다.
글짜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림이 첨부되어진 경우도 수없이 많은데.. 난감하게도 두 가지 경우의 문자소 형태는 전혀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해서 해석이 불가하다.
좌측 세번째 문자소는 "뱀" 을 상징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좌측 첫번째 문자소는 자주 등장한다.. 그리고 두 번째 문자소는 동사가 분명한데.. 뱀을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한다(동사)" 라는 경고그림일 것이다.
아래 그림의 두번째 문자는 "코끼리" 를 상징하는 문자소이다.
아래 그림의 두번째 문자는 "코끼리" 를 상징하는 문자소이다.
세개의 문자소들중에서.. 첫번째 문자소가 같은 것이 조각되어진것들을 한곳에 모아서 나머지 두개의 문자소와 그림을 비교해보려는 시도이다..
한쪽 면에는 문자들이 9개 새겨져 있는데.. 뒷면에는 사냥해온 동물을 어깨에 짊어 지고 오는그림이 있다.. 9개 문자는 사냥에서 돌아오는 그림을 설명하는것으로 추정해보는데.. 여기에서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것일까.!? 하나는 확실히 알수가 있거니와.. 9개 문자중에는 동물의 이름을 새긴 것이다..
앞면의 그림은 네가지 주제가 있다.. (1) 해.. (2)동물..(3) 사냥군.. (4)창..
이 두 가지 유물의 사진에서 문자소가 같은 형태가 있다.. 양쪽 모두 우측 하단부의문자소인데.. "사냥하다" "사냥" 이라는 문자소일 것이다..
상기 네 개의 문자소는 해석해내기 그렇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면.. 앞면의조각상과 연관있는 문자소이기 때문이다. 헌데.. 우선 먼저 앞면의 조각상에 대한해석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면의 조각상은 여성상인데.. 대모지신.. 조상신..하늘여신.. 등 여러가지 방향에서 해석을 접근해야 한다는 고충이 있다.. 결국.. 보다 더 충분히 많은 문자소 유물들을 입수한 다음에 비로소.. 설득력있는 문자소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